반응형

문제 링크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167

 

1167번: 트리의 지름

트리가 입력으로 주어진다. 먼저 첫 번째 줄에서는 트리의 정점의 개수 V가 주어지고 (2 ≤ V ≤ 100,000)둘째 줄부터 V개의 줄에 걸쳐 간선의 정보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. 정점 번호는 1부터 V까지

www.acmicpc.net

<문제 풀이> DFS

https://seokjin2.tistory.com/83

 

[백준 1967번] 트리의 지름

문제 링크: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967 1967번: 트리의 지름 파일의 첫 번째 줄은 노드의 개수 n(1 ≤ n ≤ 10,000)이다. 둘째 줄부터 n-1개의 줄에 각 간선에 대한 정보가 들어온다. 간선에 대한 정보..

seokjin2.tistory.com

1967번 트리의 지름 문제에서는 N제한이 10,000이기 때문에 모든 정점에 대해서 DFS or BFS를 돌려서 O(N^2)에 트리의 지름을 구할 수 있었지만
이문제는 N제한이 100,000이기 때문에 O(N^2)을 하면 시간 초과가 나게 된다.

 

이문제는 모든 정점에 대해서 DFS를 호출하지 않고 DFS를 2번 호출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.

 

[트리의 지름 알고리즘]

1. 임의의 정점 x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정점 u를 찾는다

2. 1에서 찾은 정점 u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정점 v를 찾는다

3. u - v가 트리의 지름이 된다.

 

<C++ 소스 코드>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55
56
57
#include <iostream>
#include <string>
#include <algorithm>
#include <queue>
#include <vector>
#include <stack>
#include <utility>
#include <climits>
#include <deque>
using namespace std;
 
vector<pair<intint> > adj[100001];
bool visited[100001];
int n;
int maxDist = 0;
int start = 0;
void dfs(int u, int dist) {
    visited[u] = true;
    if (dist > maxDist) {
        start = u;
        maxDist = dist;
    }
    for (auto v : adj[u]) {
        if (visited[v.first])continue;
        dfs(v.first, dist + v.second);
    }
}
 
void solve() {
    dfs(10);
    maxDist = 0;
    fill(visited, visited + 1000010);
    dfs(start, 0);
    cout << maxDist;
}
 
int main(void) {
    ios::sync_with_stdio(false);
    cin.tie(nullptr);
 
    cin >> n;
    for (int i = 1; i <= n; i++) {
        int u; cin >> u;
        while (true) {
            int v, c;
            cin >> v;
            if (v == -1break;
            cin >> c;
            adj[u].push_back({ v, c });
        }
    }
    solve();
 
 
    return 0;
}
 
cs

 

반응형

'알고리즘 문제풀이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백준 2661번] 좋은수열  (0) 2021.12.16
[백준 2132번] 나무 위의 벌레  (0) 2021.12.16
[백준 1967번] 트리의 지름  (0) 2021.12.13
[백준 2331번] 반복수열  (0) 2021.12.12
[백준 16920번] 확장 게임  (0) 2021.12.08

+ Recent posts